JMH 성능 테스트와 같은 내용은 실습을 진행하여 정리는 생략하였습니다.
천 개 이상의 요소가 있을 때만 병렬 스트림을 사용하라
와 같이 양을 기준으로 병렬 스트림 사용을 결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.
정해진 기기에서 정해진 연산을 수행할 때는 이와 같은 기준을 사용할 수 있지만, 상황이 달라지면?
→ 이와 같은 기준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.
그래도 어떤 상황에서 병렬 스트림을 사용할 것인지 약간의 수량적 힌트를 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때도 있다.
확신이 서지 않으면 직접 측정하라.
순차 스트림을 병렬 스트림으로 쉽게 바꿀 수 있다.
→ 하지만 무조건 병렬 스트림으로 바꾸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! (병렬 스트림이 항상 빠른 것은 아니기 때문)
→ 더욱이 병렬 스트림의 수행 과정은 투명하지 않을 때가 많다.
따라서 어느 것이 좋을 지 모르겟다면 적절한 벤치마크로 직접 성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