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aside> 💡 *이 장의 주요 내용
</aside>
→ 동작 파라미터화를 아용하면 자주 바뀌는 요구사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.
→ 동작 파라미터화란 아직은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결정하지 않은 코드 블럭을 의미한다.
→ 이 코드 블록은 나중에 프로그램에서 호출한다.
→ 즉, 코드 블록의 실행은 나중으로 미뤄진다.
동작 파라미터화로 아래처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.
단, 동작 파라미터화를 기존 동작에 추가하려면 쓸데없는 코드가 늘어난다.